안녕하세요! 루카입니다!ㅎㅎ
저번에 예고한대로(예고한 연재 못 보셨다면 걸어놓은 링크타고 가서 보고 오시길ㅋㅋ)
『세밀화로 그린 보리어린이 딱정벌레 도감』이란 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작년 4월에 출간한 꽤 최근 책이지요.
이 책 정독하는데 참 오래걸렸습니다. 하지만 결국 나의 인내심이 승리했다!
책 표지는 이렇게...
사실 국어사전처럼 이렇게....
보호하는 게 있습니다.
진짜 책 표지는 이렇습니다. 똑같자나..
차례.... 넘 길어서 보기만 해도 현기증이
이게 다가 아니고 차례가 4쪽이나..ㅋ
그림으로 찾아보기.
실제 크기는 아닙니다.
네. 여기서 딱정벌레에 대한 설명이 나오구요.
여러 가지 제가 모르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딱정벌레'라는 말이 어디서 왔는지입니다.
저는 '딱지날개'할 때 그 딱지에서 따온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고 '댝정벌레'라는 옛말에서 왔다고 하네요.(긁적긁적)
중 '머리' 부분의 그림입니다.
이렇게 그림 옆에 기~~인 설명이 붙어있습니다.
머리와 더듬이를 비교해주고 있죠.
대망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딱정벌레!
앞에 많이 있지만 다 설명하긴 좀 그래서 사슴벌레 부분으로 바로 패스!
여기서 이상한 부분을 눈치채셨나요...?
애사슴벌레와 홍다리사슴벌레의 속명이 이상합니다!
아마도 이 책을 쓰신 분들이 애사슴벌레아속(Macrodorcus)와 홍다리사슴벌레아속(Nipponoddorcus)을 속으로 간주하는 것 같아요.
넓적사슴벌레아속(Serrognathus)을 속으로 간주하는 학자가 있는 건 알고 있었는데 홍다리사슴벌레아속이나 애사슴벌레아속을 속으로 간주하는 학자가 있는지는 몰랐네요;;
애사나 홍다리뿐만 아니라 두점박이도 톱사슴벌레속이 아닙니다;;
오류인지 궁금하네요. 아시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좀은 그 종이 갉아먹는 그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셨으면 착각입니다 ㅋ
나무를 갉아먹는 딱정벌레 좀이 또 따로 있어요 ㅋ
세상은 넓고 곤충은 많습니다...!ㅋ
그러니까 다른 말로 국명으로 찾아보기입니다.
아이고 제목이 잘렸네요ㅠ
학명으로 찾아보기입니다.
찾아보기가 2개나 있어요...!
저번『사슴벌레 도감』에는 참고 문헌, 그러니까 참고 논문이 있었는데, 이 책에는 참고한 책이 있어요.
아니, 저자소개가 맨 뒤에 있어요~ㅠㅠ
이 책에 대한 제 의견은:
보리 어린이라지만 어린이가 읽기 힘든 분량+내용을 자랑합니다.
솔직히 소장하시려면 동정용으로 추천합니다. 정독용으로는;; 너무 힘들어요 ㅋㅋ 세밀화가 말그대로 굉장히 세밀하고
변이형까지 보여주기 때문에 동정할 때 편합니다.(실제로 이 책 보고 '아 걔가 얘였구나~'한게 한둘이 아님 ㅋㅋ)
암튼 이렇게『세밀화로 그린 보리어린이 딱정벌레 도감』책 소개를 마칩니다.
모두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