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 시작 ㅎㅎ
흔히 '쥐며느리'와 '공벌레'가 같은 종류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쥐며느리'와 '공벌레'는 같은 쥐며느리과이지만 엄연히 다른 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쥐며느리 | 공벌레 |
꼬리마디에 붓형 돌기 2개 | 꼬리마디에 뭉뚝한 돌기 |
몸을 말 수 없음 | 몸을 공 모양으로 말 수 있음 |
두 가지의 확실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앞서 '쥐며느리'의 특징에서 소개한 꼬리마디의 붓형 돌기가 주요 차이점입니다.
쥐며느리의 경우 위 사진처럼 붓형 돌기를 2개 가지고 있지만 '공벌레'의 경우는 꼬리마디가 뭉뚝한 모양으로 흡사 꼬리마디가 없는 형태인 듯 보입니다.
두 번째로는 '쥐며느리'의 경우 몸을 말지 못하며 천적을 만나 몸을 공처럼 말아 방어작용을 하는 '공벌레'와는 다르게 도망치거나 죽은 척을 함으로써 방어행위를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쥐며느리'와 '공벌레'는 같은 쥐며느리과의 생물이지만 다른 종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ㅎㅎ
쥐며느리의 경우 인간과의 관계 또한 생각보다 오래전부터 연관되어있었습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쥐며느리는 소아대장염 치료제로서
발열, 복통, 구토, 수면장애 등의 증상들이 개선.
쥐며느리의 어원 유래를 보면
•쥐[鼠]와 며느리[婦]의 합성어로
쥐 앞에선 마치 시어머니 앞의 며느리처럼 꼼짝을 못 한다.
쥐며느리에 관한 속담으론
‘쥐며느리가 새우 아재를 사모하듯
너무나 짝이 기운 상대가
짝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 사례를 들어보면 실제 아프리카에선 쥐며느리를 잡아 소금 양념을 해서 말려 먹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쥐며느리 음식은 인기가 많아 아프리카 현지에는 농장까지 만들어 식용으로 키워서 통조림이나 감자칩처럼 과자봉지에 넣어 팔기도 한다네요.
또한 자연 속 청소부라는 이름처럼 쥐며느리는 비바리움과 같은 식물원예 등에서도 작은 공간의 청소부로 많이 유통이 되며 영역이 점점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오늘날 다양한 애완 생물의 영역이 많아지면서 쥐며느리는 애완 절지동물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외국의 색이 이쁜 여러 쥐며느리뿐 아니라 한국에 서식하는 종도 사육용으로 인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쥐며느리 Koreoniscus racovitzai' - 한국의쥐며느리 (쥐며느리목 하위분류 포함)
쥐며느리과 Family Trachelipodidae Strouhal, 1953
얼룩쥐며느리속 Genus Agnara Budde-Lund, 1908
얼룩쥐며느리 Agnara pannuosus Nunomura, 1987
한국쥐며느리속(신칭) Genus Koreoniscus Verhoeff, 1937
'쥐며느리 Koreoniscus racovitzai'
돌쥐며느리속 Genus Lucasioides Kwon, 1993
돌쥐며느리 Lucasioides gigliotosi Arcangeli, 1927
제주돌쥐며느리 Lucasioides sinuosus Nunomura, 1987
울릉돌쥐며느리 Lucasioides taitii Kwon, 1993
쥐며느리속 Genus Mongoloniscus Verhoeff, 1930
고려쥐며느리 Mongoloniscus koreanus Verhoeff, 1930
꼬마쥐며느리 Mongoloniscus vannamei Arcangeli, 1927
매끈쥐며느리속(신칭) Genus Protracheoniscus Verhoeff, 1917
남방쥐며느리과 Family Philosciidae Kinahan, 1857
남방쥐며느리속 Genus Burmoniscus Collinge, 1826
남방쥐며느리 Burmoniscus mauritiensis Taiti & Ferrara, 1893
갯가쥐며느리속 Genus Littorophiloscia Hatch, 1947
등줄갯가쥐며느리 Littorophiloscia lineata Kwon, Lee & Jeon, 1993
갯가쥐며느리 Littorophiloscia nipponensis Nunomura, 1986
양쥐며느리과 Family Porcellionidae Brandt & Ratzeburg, 1831
얼룩양쥐며느리속 Genus Agadiformius Verhoeff, 1908
얼룩양쥐며느리 Agabiformius lentus Budde-Lund, 1885
양쥐며느리속 Genus Porcellio Latreille, 1804
양쥐며느리 Porcellio laevis Latreille, 1804
굴뚝양쥐며느리속 Genus Porcellionides Miers, 1877
굴쭉양쥐며느리 Porcellionides pruinosus Brandt, 1833
세갈래쥐며느리과 Family Scyhacidae Dana, 1852
세갈래쥐며느리속 Genus Armadilloniscus Uljanin, 1875
흰세갈래쥐며느리 Armadilloniscus albus Nunomura, 1984
두드럭세갈래쥐며느리 Armadilloniscus hawaiianus Taiti & Ferrara, 1989
일본세갈래쥐며느리 Armadilloniscus japonicus Nunornura, 1984
술래쥐며느리속 Genus Quelpartoniscus Kwon, 1995
술래쥐며느리 Quelpartoniscus granulatus Kwon, 1995
쥐며느리아목 Suborder Oniscidea Latreille, 1802
개미부치쥐며느리속 Genus Exalloniscus Stebbing, 1911
개미부치쥐며느리 Exalloniscus cortii Arcangeli, 1927
제주개미부치쥐며느리 Exalloniscus silvestrii Kwon&Taiti, 1993
모래무지쥐며느리과 Family Alloniscidae Schmidt, 2003
모래무지쥐며느리속 Genus Alloniscus Dana, 1854
모래무지쥐며느리 Alloniscus balsii Verhoeff, 1928
남방공벌레과 Family Armadillidae Brandt & Ratzeburg 1831
공벌레속 Genus Armadillidium Brandt, 1831
큰이마공벌레 Armadillidium nasatum Budde-Lund, 1885
공벌레 Armadillidium vulgare Latreille, 1885
작은꼬리공벌레속(신칭) Genus Spherillo Dana, 1853
고려공벌레 Spherillo odscurus Budde-Lund, 1885
갯강구과 Family Ligiidae Brandt & Ratzeburg, 1831 갯강구과
갯강구속 Genus Ligia Fabricius, 1798
극동갯강강구(신칭) Ligia cinerascens Budde-Lund, 1885
갯강구 Ligia exotica Roux, 1828
멧강구속 Genus Ligidium Brandt, 1833
멧강구 Ligidium koreanum Flasarova, 1972
참고문헌
도서자료
최성식, 토양동물학,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6, pp.273~277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21권 13호, pp.48~74
곤충 개념 도감, 자연과 생태, 2009, pp.305~316
한국민족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206&cid=46639&categoryId=46639
사이버자료
쥐며느리로 소아대장염을 치료, 동의치료경험집성 편찬위원회 , 여강출판사, 동의치료경험집성, 2001
나무위키 쥐며느리
https://namu.wiki/w/%EC%A5%90%EB%A9%B0%EB%8A%90%EB%A6%AC
사진출처
https://blog.naver.com/ideacock
절지류 블로거 후엉후엉님
https://mongfactory.tistory.com/286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
blogid=0bzMx&articleno=1319&categoryId=14®dt=20130625204743
그 외 구글링을 통해 담아온 사진들의 원본
이상으로 시노부의 숲속 작은 생물자원 '쥐며느리' 이야기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ㅎㅎ
정보에 대한 오류나 수정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ㅎㅎ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축하합니다! 충키가 261점 행운포인트를 드립니다! 점수를 확인하셔서 충키를 잡아라 이벤트에 응모해주세요!!! [응모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