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곤충의 우리말 이름은 모두 가칭이며, 종소명의 유래, 서식지, 형태적 특징에 맞는 이름을 사용함.
<3줄 요약>
곤충시장에서 'Acridoxena hewiana'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유통되는 큰머리가시여치(=용머리여치)는 큰머리가시여치속(Lesina)에 속합니다.
'Acridoxena hewiana'라는 학명은 틀렸으며 'Acridoxena hewaniana'가 맞습니다.
아프리카유령여치(Acridoxena hewaniana)는 아프리카에 사는 희귀한 종류이며 큰머리가시여치(Lesina sp.)는 동남아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 삽니다.
만약 내 이름이 다른 동물의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여치의 일종, "큰머리가시여치"가 그렇습니다.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큰머리가시여치(=용머리여치. Dragon headed katydid)는 독특한 생김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에 스펀지 프로에서 리옥크(Sia ferox)를 소개할 때 머리가 크다고 방송에 나온 적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이 친구들은 홍길동도 아닌데 제 이름을 제 이름으로 불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를 봅시다.
구글에 Acridoxena hewiana를 검색해보니 큰머리가시여치 사진이 주루룩 뜹니다. 하지만 큰머리가시여치의 학명은 'Acridoxena hewiana'가 아닙니다. 동남아의 큰머리가시여치류(Eumegalodontina)는 블랑샤르큰머리가시여치속(Ellatodon)과 큰머리가시여치속(Lesina) 두 부류인데, 큰머리가시여치류가 왜 2개의 속으로 나누어지냐면, 이 두 속(屬)은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비슷하여 앞다리 넓적다리마디의 가시를 보고 구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Lesina속에는 5종, Ellatodon속에는 E. blanchardi 1종이 존재하며 앞가슴등판 가시 모양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이미지에 가장 많이 보이는 종은 1835년 프랑스의 곤충학자 Brullé가 기록한 자바큰머리가시여치(Lesina ensifera)네요. 이 종은 자바섬 서부에 분포합니다.
좌: 블랑샤르큰머리가시여치 Ellatodon blanchardi 우: 큰머리가시여치류 Lesina sp.
누군가의 실수, 혹은 오동정(misidentification; 잘못된 종으로 밝혀고 알림) 등 어떠한 이유로 큰머리가시여치는 '아크리도세나 헤위아나'(Acridoxena hewiana)라는, 전혀 엉뚱한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곤충 표본이 들어올 때에도 이 이름으로 들어오고 있었고, 살아있는 곤충도 이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큰머리가시여치 입장에서는 서로 비스무리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멀쩡한 이름을 놔두고 남의 이름으로 불려야 하니 조금 억울할 것입니다.
하지만 억울한 건 원래 이름 주인인 아프리카유령여치(Acridoxena hewaniana)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종소명(종의 이름)인 '헤와니아나'(hewaniana)는 '헤위아나'(hewiana)로 잘못 알려졌습니다.
여기서 아프리카유령여치는 과연 어떤 여치일까요? 이 여치는 아프리카 서부의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희귀한 종으로 철써기의 친척에 속합니다. 앞가슴등판은 큰머리가시여치처럼 삐죽한 가시볏이 나 있고 머리는 큰 편이지만 큰머리가시여치에 비하면 작습니다. 다리와 날개모양이 마치 낙엽같습니다. 위장의 귀재군요. 배 끝의 산란관(알을 낳는 기관)이 길쭉한 잎 모양인 큰머리가시여치와는 달리 아프리카유령여치의 산란관은 짧고 납작하며 짧은 낫 모양입니다. 이 종의 생태는 초식성, 야행성, 그리고 건들면 날개를 마찰시켜 '샤라락 샤라락' 소리를 낸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알려진 게 거의 없습니다.
아프리카유령여치 Acridoxena hewaniana
자기 이름도 못부르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근데좀 징글
ㅋㅋㅋ